사랑의 의미
사랑은 인간관계에서 경험할 수 있는 가장 행복하고 오묘한 감정이다. 사랑은 가장 황홀하면서 때로는 가장 고통스런 체험이기도 하다. 사랑은 두 사람이 서로를 강렬하게 원하게 하며 서로를 융합시키는 신비스런 마력을 지니고 있다. 사랑은 누구나 동경하는 체험이며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예술과 문학의 변함없는 주제였다. 한 개인의 삶에 있어서도 사랑은 기쁨과 슬픔, 환희와 고통, 행복과 불행을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임을 아무도 부정하지 못할 것이다.
과연 우리의 삶에서 이토록 중요한 사랑은 무엇인가? 무엇을 사랑이라고 하는가? 사랑은 정의하기 어렵다. 국어사전에 의하면 사랑은 '아끼고 위하는 따뜻한 인정을 베푸는 일 또는 그 마음' 또는 '마음에 드는 이성을 몹시 따르고 그리워하는 일 또는 그러한 마음' 이라고 정의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랑의 정의와 설명에 만족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우리가 조금 더 성숙하고 건강한 사랑을 하기 위해서는 '사랑'이란 감정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사랑의 이해
사랑은 우리 인생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심리적 체험이다. 그러나 참으로 이상한 것은 이렇게 우리 삶의 중요한 요소인 사랑에 대해서 우리는 너무도 아는 게 없다는 사실이다. 사랑이 인간의 삶에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에 대해서는 인간의 역사 수천 년 동안 수없이 체험되어 왔고 수없이 묘사되어 왔지만, 사랑을 지적으로 이해하려는 노력은 너무도 부족했다. 오늘날과 같이 인간이 우주선을 타고 외계를 넘나들 만큼 과학문명이 눈부시게 발달한 21세기에도, 사랑에 대해서는 수천년 전과 크게 다를 바 없는 원시적인 사랑관을 갖고 살아가고 있다.
그 이유 중의 하나는 사랑을 신비화하려는 인간의 미신적 또는 낭만적인 성향이라 할 수 있다. 사랑 앞에서 인간의 이성은 무력해지는 경향이 있다. 소설 속의 이야기지만, 파우스트 같은 대학자도 사랑 앞에선 자신의 영혼을 사탄에게 넘겨줄 만큼 비이성적인 존재로 변해 버린다. 인간은 이 세상 모든 것에 대해서 과학이라는 칼날로 그 실체를 밝히려 시도해 왔지만, 사랑에 대해서만은 그렇지 못했다. 사랑에 대해서만은 이성적 이해를 유보한 채 신비의 영역으로 남겨두려는 낭만적 태도가 지배적이었다. 많은 사람들이 '사랑에 대한 과학적 연구'에 대해서는 부정적이고 거부적인 태도를 보인다. 심지어 1960년대에 미국 의회에서는 사랑에 대한 연구를 금지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된 적이 있었다. 그 이유는 사랑이 과학적으로 해부되어 버리면 삶이 너무 무미건조해지지 않겠느냐는 것이었다고 한다.
남녀 간의 사랑은 기쁨과 고통을 수반하는 오묘한 관계체험이다.
이러한 태도 뒤에는, 사랑이 과학적으로 연구되어 그 신비성이 사라지면 사랑의 가치가 상실될 것 같은 미신적인 불안감이 숨겨져 있는지 모른다. 마치, 다이아몬드가 단지 탄소덩어리에 불과하다는 것이 밝혀지면 무가치한 돌덩어리로 변해버리지 않을까 하는 다이아몬드 애호가의 불안 같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사랑에 대해서 가르치지도 않고 또 배우려 하지도 않는다. 사랑은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것이고 또 그래야 한다는 생각이 일반적이다. 많은 경우, 성장 과정 속에서 다양한 소설과 영화, 드라마 등을 통해 사랑에 대한 극히 왜곡되고 부분적인 이해를 하게 되어 사랑에 대한 환상과 편견을 키워 나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렇게 사랑에 대해 무지한 상태에서 이성관계에 노출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사랑에 대한 무지는 사랑에 대한 환상과 신비감을 증가시킬지는 모르나 사람들을 미숙하고 생채기를 남기는 사랑으로 이끌어 불행과 고통 속에 빠지게 한다. 심리상담 전문가들은 사랑에 대한 편견, 오해, 착각으로 인해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심리적인 상처를 입고 불필요한 고통 속에서 괴로워하는지를 잘 알고 있다. 진정으로 아름답고 성숙한 사랑을 하기 위해서는 사랑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하다.
다음 포스팅에선 본격적으로 사랑의 다양한 유형에 대해 다루어 보려고 한다.
'인간관계 > 인간관계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간관계론] 사랑(애정)의 발전에 따른 단계별 특징 (0) | 2023.01.02 |
---|---|
[인간관계론] 다양한 사랑의 유형 (0) | 2023.01.01 |
[인간관계론]친구관계의 악화, 멀어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0) | 2022.12.29 |
[인간관계론]친구관계의 발전과 친해지는 요인 (0) | 2022.12.27 |
[인간관계론] 친구관계- 친구의 의미 (0) | 2022.12.21 |